Surprise Me!

[출근길 인터뷰] 여성 직장인 절반 "아가씨, 아줌마로 불린 적 있다"

2023-10-09 1 Dailymotion

[출근길 인터뷰] 여성 직장인 절반 "아가씨, 아줌마로 불린 적 있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여성 노동자들은 해마다 늘어나는데 호칭으로 인한 성차별은 여전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직장 내에서 '아줌마·아가씨' 등 부적절한 호칭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건데요.<br /><br />왜 개선되지 않는 건지 뉴스캐스터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민재 캐스터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출근길 인터뷰입니다. 오늘은 신지영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신지영 /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]<br />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가장 먼저 직장 내에서 아직도 아줌마나 아가씨 같은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데 왜 그런 걸까요?<br /><br />[신지영 /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]<br /><br />글쎄요. 한 기사를 보고 저도 깜짝 놀랐는데요.<br /><br />보도에 따르면 직장 내에 1000명을 대상으로 혹시 부적절한 호칭이나 이런 것들을 경험한 적이 있느냐라고 했더니 2명 중 1명이 여성의 경우 아줌마나 아가씨와 같이 부적절한 호칭을 들어서 불편했다 이런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해서 저도 깜짝 놀랐습니다.<br /><br />사실 2년 전에는 이런 일도 있었습니다. 원주시청 공무원들이 민원인들이 자신들을 적절하게 호칭하지 않아서 불편하다.<br /><br />왜 아가씨냐, 언니야가 뭐냐. 이런 호칭 때문에 굉장히 불편하다, 이런 것들 때문에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고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남성 노동자를 오빠나 삼촌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데 왜 유독 여성 노동자에게 성별 프레임이 있는 걸까요?<br /><br />[신지영 /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]<br /><br />사실은 호칭이라는 것은 한국어의 특징과 관련이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어는 너를 너라고 부르기가 어려운 언어거든요. 우리가 처음 만나서 너 이렇게 하지는 않잖아요.<br /><br />너를 너라고 하지 못하는 언어가 전 세계에 몇 개 없는데 그중에 하나가 한국어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너 대신에 부를 말 호칭어가 필요한 거죠.<br /><br />그런데 호칭어는 내가 상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그대로 드러나는 자기 말로 고백하는 말이다,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니까 상대를 내가 어떻게 생각하느냐. 아가씨나 아줌마가 왜 불편하냐면 모든 특징들이 다 없어지고 성별과 연령, 이거에 의해서 상대에 의해서 그렇게 여겨진다.<br /><br />이건 부적절하다라는 여자로 어떤 특정한 나이로 거기에 존재하는 게 아니라 나의 역할이 있는데 왜 내 역할로 불러주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 거고요.<br /><br />그것이 특정한 성별에만 있다라는 것이 우리 사회의 큰 문제구나. 이런 문제의식을 보도를 통해서, 이런 현상을 통해서 느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렇다면 호칭이 애매할 때는 어떻게 부르는 것이 좋을까요?<br /><br />[신지영 /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]<br /><br />호칭은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상대를 내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내 입으로 고백하는 말이거든요.<br /><br />어떻게 불러야 될지 고민스러운 일이 많습니다. 왜냐하면 과거에는 사회적 관계가 별로 없었거든요.<br /><br />그런데 이제는 굉장히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우리에게 있고 그러다 보니까 과거의 호칭 메뉴가 제한되어 있어서 우리가 지금 현재는 호칭의 메뉴를 늘려가야 되는 그런 시기에 있습니다.<br /><br />상대를 어떻게 부를까 고민이 된다면 가장 일반적으로 문제가 없다라고 얘기할 수 있는 게 선생님이라는 호칭입니다.<br /><br />선생님, 이렇게 불러보는 것이 첫 번째고요.<br /><br />두 번째는 만약에 그랬는데 좀 불편함을 느낀다 그러면 이렇게 되물어 보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어떻게 불러드리면 좋을까요? 그러면 그 상대가 이렇게 불러주세요. 그럼 그렇게 부르면 되거든요.<br /><br />왜 내가 해결하려고 할까. 상대에게 경청하는 그런 자세를 가져보면 어떨까 이렇게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마지막으로 아직도 인격을 비하하는 호칭들이 참 많습니다. 이럴 때 호칭을 어떻게 정립해야 할지 한 말씀해 주시죠.<br /><br />[신지영 /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]<br /><br />말씀드렸듯이 내가 상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내 입으로 고백하는 말이거든요.<br /><br />어떤 사람도 불평등한 주의자라든지 인권을 무시하는 사람, 상대를 존중하지 않는 사람 이런 사람이 되고 싶은 사람은 없을 거예요.<br /><br />만약에 그렇다면 상대를 존중하는 태도가 내 말에 잘 들어가 있는지 이런 생각을 먼저 하는 게 좋을 거고요.<br /><br />우리 사회적으로 이것은 조금 더 많은 사람에게 자각할 수 있는 기회, 오늘 같은 인터뷰 이런 것들을 더 많이 늘려가면 어떨까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말씀 고맙습니다.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